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규칙

현행

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규칙

연혁
  • 링크 복사하기
[현행 2024.10.04.] [대법원규칙 제265749호 2024.10.04. 일부개정]

  • 법원행정처(사법지원심의관실), 02-3480-1461

제1장 총칙

제1조 (목적)

①이 규칙은 「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」(이하 “법”이라 한다)에 의하여 대법원규칙에 위임된 사항 및 기타 이 법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.  <개정 2006. 6. 14 .>

② 삭제  <1990. 8. 21 .>

제2장 삭제

제2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3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4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5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6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7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8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9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10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11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12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13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14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15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16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3장 삭제

제17조

삭제  <1990. 8. 21 .>

제4장 독촉절차

제17조의 2 (공시송달에 의한 지급명령)

법 제20조의2제1항제22호에서 “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자”란 다음 각 호의 자를 말한다.  <개정 2016. 10. 4., 2018. 1. 31., 2021. 9. 30., 2023. 8. 31., 2024. 3. 28., 2024. 10. 4 .>

1. 법 제20조의2제1항제16호의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자산관리자인 주식회사 국민행복기금 

2. 「서민의 금융생활 지원에 관한 법률」에 따른 서민금융진흥원 및 동 법인이 운영하거나 지원ㆍ감독하는 신용대출사업자 

3. 「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법 제20조의2제1항제18호 또는 제22호에 해당하는 자가 청구 채권의 자산보유자인 유동화전문회사 

[본조신설 2014. 11. 27.]

제5장 불출석피고인에 대한 형사재판

제18조 (주소의 보고와 보정)

①재판장은 피고인에 대한 인정신문을 마친 뒤 피고인에 대하여 그 주소의 변동이 있을 때에는 이를 법원에 보고할 것을 명하고, 피고인의 소재가 확인되지 않는 때에는 그 진술없이 재판할 경우가 있음을 경고하여야 한다. 

②피고인에 대한 송달이 불능인 경우에 재판장은 그 소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재조사촉탁, 구인장의 발부 기타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. 

③공소장에 기재된 피고인의 주소가 특정되어 있지 아니하거나 그 기재된 주소에 공소제기 당시 피고인이 거주하지 아니한 사실이 인정된 때에는 재판장은 검사에게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그 주소를 보정할 것을 요구하여야 한다. 

제19조 (불출석피고인에 대한 재판)

①피고인에 대한 송달불능보고서가 접수된 때로부터 6월이 경과하도록 제18조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의 소재가 확인되지 아니한 때에는 그 후 피고인에 대한 송달은 공시송달의 방법에 의한다. 

②피고인이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공판기일의 소환을 2회이상 받고도 출석하지 아니한 때에는 법 제23조의 규정에 의하여 피고인의 진술없이 재판할 수 있다. 

제6장 형사소송절차에 있어서의 배상명령

제20조 (배상신청인 등의 좌석)

법 제26조의 규정에 의하여 피해배상을 신청한 자(다음부터 “배상신청인”이라 한다) 또는 그 대리인은 법관의 정면에 위치한다. 

[전문개정 2007. 10. 29.]

제21조 (배상신청인등의 확인)

재판장은 공판을 개정한 때에는 배상신청인 및 그 대리인을 호명하여 출석여부와 배상신청인의 성명, 연령, 주거 및 직업등을 확인하여야 한다. 

제22조 (배상신청인의 퇴석)

①출석한 배상신청인은 언제든지 재판장의 허가를 받고 퇴석할 수 있다. 

②재판장은 공판기일의 심리가 배상명령과 관계없는 경우에는 출석한 배상신청인을 퇴석하게 할 수 있다. 

제23조 (공판조서의 기재요건)

공판조서에 배상신청인의 성명, 출석여부 및 신청서의 진술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여야 한다. 

제24조 (증거조사)

①법원은 필요한 때에는 언제든지 피고인의 배상책임 유무와 그 범위를 인정함에 필요한 증거를 조사할 수 있다. 

②법원은 피고사건의 범죄사실에 관한 증거를 조사할 경우 피고인의 배상책임 유무와 그 범위에 관련된 사실을 함께 조사할 수 있다. 

③피고사건의 범죄사실을 인정할 증거는 피고인의 배상책임 유무와 그 범위를 인정할 증거로 할 수 있다. 

④제3항에 규정된 증거 이외의 증거를 조사할 경우 증거조사의 방식 및 증거능력에 관하여는 「형사소송법」의 관계규정에 의한다.  <개정 2006. 6. 14 .>

제25조 (즉시항고와 기록송부)

①피고인이 법 제33조제5항의 규정에 의하여 즉시항고를 제기한 때에는 원심법원은 소송기록과 증거물을 14일이내에 항고법원에 송부하여야 한다. 다만, 피고인에 대하여 사형을 선고한 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 

②제1항의 규정은 재항고의 경우에 이를 준용한다. 

제26조 (재판 정본의 보관)

①배상명령이 확정된 때에는 제1심판결법원은 확정된 유죄판결등의 정본을 보관하여야 한다. 

②배상명령이 제1심판결법원 이외의 법원에서 확정된 때에는 그 법원은 확정된 재판의 정본을 제1심판결법원에 지체없이 송부하여야 한다. 

③제1심판결법원이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확정된 재판의 정본을 송부받은 때에는 형사공판사건부의 비고란에 그 취지를 기재하여야 한다. 

④제1항의 규정에 의한 정본의 보존기간은 「법원재판사무처리규칙」 제29조 [별표 2]에 규정된 [영구]로 한다.  <개정 2002. 6. 28., 2006. 6. 14 .>

제27조 (재판 정본의 교부)

①배상명령이 확정된 경우, 제1심판결법원 또는 소송기록을 보관한 상급심법원은 「민사집행법」이 규정한 집행력있는 정본의 부여절차에 의하여 확정된 유죄판결등의 정본을 교부한다.  <개정 2002. 6. 28., 2006. 6. 14 .>

②가집행선고부 배상명령이 있는 때에는 소송기록을 보관한 법원이 제1항에 규정된 절차에 의하여 유죄판결등의 정본을 교부한다. 

제7장 민사상 다툼에 관한 형사소송절차에서의 화해

제28조 (화해신청서의 기재사항)

법 제36조제3항의 서면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기재하고 신청인 또는 대리인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. 

1. 형사피고사건의 번호, 사건명 및 사건이 계속된 법원 

2. 신청인의 성명 및 주소 

3. 대리인이 신청할 때에는 그 성명 및 주소 

4. 신청인이 당해 형사피고사건의 피고인일 때는 그 취지 

5. 신청인이 법 제36조제2항에서 규정하는 피고인의 금전지불을 보증하거나 연대하여 의무를 부담하기로 한 사람일 때는 그 취지 

6. 당해 신청과 관련된 합의 및 그 합의가 이루어진 민사상 다툼의 목적인 권리를 특정함에 충분한 사실 

[본조신설 2006. 6. 14.]

제29조 (공판기일에서의 절차)

법 제36조제3항에 따라 신청인이 공판기일에 출석한 경우 그 성질에 반하지 않는 한 제20조 내지 제2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. 

[본조신설 2006. 6. 14.]

제30조 (공판조서의 기재사항 등)

①법 제36조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신청이 있는 경우 공판조서에는 그 신청사실을 기재하여야 한다. 

②법 제36조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신청에 따른 합의를 공판조서에 기재하는 조치를 취한 경우에 해당기일조서에는 합의가 있다는 취지만을 기재하고,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기재한 화해조서를 작성한다. 

1. 사건의 표시 

2. 법관과 법원사무관등의 성명 

3. 신청인의 성명 및 주소 

4. 출석한 신청인 및 대리인의 성명 

5. 당해 신청과 관련된 합의 및 그 합의가 이루어진 민사상 다툼의 목적인 권리를 특정함에 충분한 사실 

③화해조서의 말미에는 법원사무관등과 재판장이 기명날인한다. 

④법원사무관등은 제2항의 화해조서의 정본을 화해가 있는 날로부터 7일 안에 신청인에게 송달하여야 한다. 

[본조신설 2006. 6. 14.]

제31조 (화해기록의 작성 및 보관)

①법 제37조에 따른 화해기록은 형사피고사건기록과 구별하여 별책으로 편성한다. 

②항소심에서 제1항의 화해기록을 작성한 경우에는 형사피고사건이 확정되거나 상고장이 접수된 후 14일 이내에 그 화해기록을 당해 피고사건의 제1심 법원으로 송부한다. 

③법 제37조제4항에 따라 제1심 법원이 화해기록을 보관할 경우에 그 보존방식과 보존기간 등은 민사소송절차에서의 제소전화해사건기록의 보존에 준한다. 

[본조신설 2006. 6. 14.]

제32조 (준용규정)

법 제36조 및 제37조에서 규정하는 민사상 다툼에 관한 형사소송절차에서의 화해절차에 있어서는 「민사소송규칙」 제1편제3장(제13조제2항 및 제14조를 제외한다) 및 제38조의 규정을 준용한다. 

[본조신설 2006. 6. 14.]
    • 검색
    • 맨위로
    • 페이지업
    • 페이지다운
   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