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형사
  • 재산범죄
  • 89. 배임죄의 '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'에서 사무처리의 근거 - 신임관계
  • 89.1. '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'는 사무처리의 독립성이 있어야 한다
전체 목록 보기

이 페이지의 첫 번째 전문가가 되어주세요!

  • 프로필 아이콘

    OOO 변호사

  • 프로필 아이콘

    OOO 검사

  • 프로필 아이콘

    OOO 법학박사

  • 프로필 아이콘

    OOO 판사

위키를 작성하면 이 곳에 프로필이 표시됩니다.

프로필은 본인 닉네임 클릭 > ‘내정보관리’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네플라 위키는 변호사, 판사, 검사, 법학교수,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.

89.1.

'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'는 사무처리의 독립성이 있어야 한다

  • 새 탭 열기
  • 작성 이력 보기

생성자
    0

    본인의 보조기관으로서 직접ㆍ간접으로 그 사무에 종사하는 경우에도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될 수 있다. 즉 배임죄에 있어서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란 고유의 권한으로서 그 처리를 하는 자에 한하지 않고 그 자의 보조기관으로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그 처리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자도 포함한다(대판 2004.6.24. 2004도520). 

    직접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자가 아니더라도 그 업무 담당자의 상급기관으로서 … 실행행위자의 배임행위를 교사하거나 또는 배임행위의 전 과정에 관여하는 등으로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한 경우에는 배임죄의 주체가 된다(대판 2004.7.9. 2004도810).

    그러나 사무처리자에게 일정한 범위에서 판단의 자유 내지 활동의 자유와 독립성과 책임이 있을 때에만 신임관계위반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본인의 지시에 따라 기계적 사무에 종사하는 자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아니다.

    피고인이 전신전화국 관리과장으로서 서무, 징수사무와 경리 및 공사관계 지출사무를 주관 처리하는 자인데 예산회계법상 재무관 및 세입징수관인 국장과 공모하여 각 그 업무상의 임무에 위배한 행위(허위내용의 재입찰공고서의 순차결재 및 국장에 의한 입찰계약 체결)를 하였다면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한다.
    0
    공유하기
    최근 작성일시: 2025년 2월 12일
    • 검색
    • 맨위로
    • 페이지업
    • 페이지다운
    • 맨아래로
   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