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법원 1987. 2. 10. 선고 86도2584 판결

대법원 1987. 2. 10. 선고 86도2584 판결

  • 링크 복사하기
[위증]

판시사항

위증죄에 있어서 허위진술인지 여부의 판단방법

판결요지

증인의 증언이 기억에 반하는 허위진술인지 여부는 그 증언의 단편적인 구절에 구애될 것이 아니라 당해 신문절차에 있어서의 증언전체를 일체로 파악하여 판단하여야 한다.

참조조문

상 고 인

검사

변 호 인

동양종합법무법인 담당변호사 최광률 외 2인

원심판결

서울형사지방법원 1986.9.12 선고 86노2782 판결

주 문

상고를 기각한다.

이 유

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.

증인의 증언이 기억에 반하는 허위진술인지의 여부는 그 증언의 단편적인 구절에 구애될 것이 아니라 당해 신문절차에 있어서의 증언 전체를 일체로 파악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인바,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피고인의 소론 증언부분을 판시와 같은 인정사실과 그 증언 전체의 취지로 보아 이것을 기억에 반한 허위진술이라 할 수 없다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인정되고 그 사실인정이나 증거의 취사선택과정에 채증법칙을 어기거나 심리미진의위법이 있다할 수 없다. 논지 이유없다.

이에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.

대법관 김달식(재판장) 윤일영 최재호

  • 검색
  • 맨위로
  • 페이지업
  • 페이지다운
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